사장님들, 하루 고용이라도
계약서 꼭 쓰세요!
수습기간 근로계약서 작성 가이드
수습기간 근로계약서 작성에 대한 순서
수습기간을 설정하여 근로계약서를 작성할 때는 수습기간 동안의
근로 조건과 법적 요건을 명확히 반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근로계약서 작성 전 준비
🔶수습기간의 목적 확인🔶: 수습기간은 근로자의
업무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한 기간입니다
🔶회사 정책 확인🔶: 수습기간에 대한 회사 내부 정책과
관련 법령을 파악하고, 이를 반영하여 계약서를 작성합니다
2.계약서 기본 정보 기입
✔️근로자 정보: 근로자의 성명, 주소,
연락처 등 기본 정보 기입
✔️회사 정보: 회사명, 사업장 주소, 대표자명 등
회사의 기본 정보 기입
3. 수습기간 명시
☑️수습기간 설정: 수습기간의 시작일과 종료일을 정확하게 기재합니다
일반적으로 수습기간은 3개월에서 6개월 사이로 설정됩니다
☑️수습기간 동안의 근로조건: 수습기간 중 근로자가 제공할 업무, 근로시간,
급여 수준(수습기간 중 급여가 정규직의 급여와 다를 수 있으므로 명확히 기재)
등을 명시합니다
4. 급여 및 복리후생 조건
✅급여 지급 방식: 수습기간 동안 지급될 급여를 명시합니다
수습기간 중 급여가 정규직보다 낮을 수 있으므로,
이를 분명히 명시하여 오해를 방지합니다.
✅복리후생: 수습기간 동안 적용되는 복리후생 정책
(예: 연차, 건강보험, 퇴직금 등)을 기재합니다.
정규직과 동일하게 복리후생이 제공되는지 여부도 명확히 해야 합니다
5. 수습기간 평가 기준 및 전환 여부
평가 기준: 수습기간 동안의 평가 기준을 명시합니다
예를 들어, 업무 능력, 근무 태도, 팀워크 등
다양한 항목으로 평가될 수 있습니다
6. 해지 조건
🔶수습기간 동안 해지🔶 : 수습기간 동안 근로계약이 해지될 수 있는
조건을 명확히 기재합니다.
예를 들어, 근로자가 일정 기간 이내에 성과를 내지 못하거나
규정을 위반할 경우 계약이 종료될 수 있다는 점을 명시합니다
🔸통보기간🔸: 수습기간 중 해지 시, 회사와 근로자가 서로에게 주어야 하는
통보 기간을 명시합니다
7. 기타 근로 조건
🔹휴일 및 휴가🔹: 수습기간 동안 근로자가 사용할 수 있는 휴일,
연차휴가 등에 대해서도 명확히 기재합니다.
🔹근로시간 및 업무 내용🔹: 근로시간, 휴식시간, 업무 내용 등을
상세하게 작성하여 근로자가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합니다
8. 근로계약서 서명 및 날짜 기입
🔸서명란 마련🔸: 근로자와 회사 대표자가 근로계약서에 서명하는
부분을 기입합니다 서명 날짜도 함께 기록합니다
🔸계약서 복사본 제공🔸: 근로자는 서명한 근로계약서를 복사본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하여, 이후 분쟁 발생 시
증빙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9. 근로계약서 보관
-계약서 보관: 근로계약서를 작성하고 서명 후,
회사와 근로자 모두 계약서의 사본을 보관합니다.
이는 향후 법적 분쟁이나 문제가 발생할 경우 중요한 자료가 됩니다
10. 수습기간 종료 후 평가 및 처리
수습기간 종료 시 근로자가 정규직으로 전환될 수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근로자에게 서면으로 통보합니다
☑️정규직 전환이 될 경우, 정규직 근로계약서를 별도로 작성하여 체결합니다
✔️수습기간 근로계약서 작성부터 관리까지,
표준 근로계약서 양식과 간편한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샐러리뷰 어플을 더욱 효율적으로 관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