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장님들, 하루 고용이라도
계약서 꼭 쓰세요!
육아휴직 후 퇴직금 받는 법
육아휴직 후 퇴직금 받을 수 있을까요?
육아휴직을 사용한 후 퇴직금을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해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육아휴직은 부모가 자녀를 돌보기 위해 근로를 중단하는 기간으로,
이 시기에 퇴직금 관련 규정에 대해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아래에서 육아휴직 후 퇴직금 수령에 대한
주요 사항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육아휴직 기간은 근로 기간으로 인정돼요.
육아휴직을 사용한 기간 동안, 이 기간은 근로 계약에 의한
근로 기간으로 인정됩니다.
즉, 퇴직금 계산 시, 육아휴직 기간을 포함한
총 근로 기간을 기준으로 퇴직금을 계산할 수 있어요.
육아휴직을 포함한 총 근로 기간이 1년 이상이면
퇴직금 수령 자격을 얻을 수 있습니다.
2.육아휴직 중 급여에 따른 퇴직금 차이
퇴직금은 일반적으로 근로자가 받은 총 급여의
일정 비율(법정 기준에 따라 30일 기준)을
기준으로계산되는데요.
육아 휴직 기간 중 급여가 지급되지 않거나,
육아휴직 급여을 받았을 경우, 그 금액을 포함한
급여 기준으로 퇴직금이 계산됩니다.
육아 휴직을 사용한 후 퇴직금 지급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는 바로 육아휴직 기간과
평균임금 산정 기간인데요.
이를 정확히 이해하고 있으면 퇴직금 수령 시
불이익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각각의 개념에 대해 상세히 설명드릴게요.
🔸육아휴직 기간🔸
육아휴직은 부모가 자녀를 돌보기 위해 근로를 중단하는
기간으로, 최대 1년까지 사용할 수 있어요.
법적으로는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동안도 근로 기간으로
인정되기 때문에 퇴직금 계산에 포함됩니다.
🔸평균 임금 산정 기간🔸
퇴직금은 근로자가 퇴직할 때 받은 평균임금을
기준으로 계산되는데요.
평균임금은 퇴직 전 3개월 동안 받은 급여의 평균을
의미하는데, 이때 중요한 점은 육아휴직 기간에 대한
처리가 다르게 이루어진다는 점입니다.
육아휴직 급여를 받은 경우: 육아 휴직 기간 동안 받은 급여는
평균 임금 산정에 포함돼요.
그러나, 육아휴직 급여는 근로자가 실제로 받는 급여와
다르기에, 육아휴직 급여를 받았다면 급여 수준이
낮아지므로 퇴직금이 낮아질 수 있답니다.
육아휴직 급여를 받지 않은 경우: 만약 육아휴직 동안 급여를
받지 않았다면, 해당 기간은 평균임금 산정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육아휴직 기간 전후의 급여가 평균임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요.
산정 기간: 퇴직금 계산 시 평균 임금을 산정하는 기간은
퇴직 전 3개월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이 3개월 동안의 총 급여를 기준으로 평균임금을 계산하고,
이를 바탕으로 퇴직금이 산정돼요.
🔸평균 임금 산정 시 유의할 점🔸
상여금 및 수당: 퇴직금 계산 시, 급여 외에도 상여금이나
각종 수당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육아휴직 기간 동안 이러한 추가 급여가 지급되지
않는다면, 이 또한 평균 임금 계산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육아휴직 후 급여 변화: 만약 육아휴직 후 복직하여 근로를
시작하면서 급여 수준이 변경되었다면,
퇴직금 계산 시 해당 변경된 급여를 기준으로 계산하게 돼요.
3.퇴직금 수령 시기
퇴직금은 근로자가 퇴직한 후 지급되는데요.
육아휴직을 사용한 후 퇴직하더라도, 퇴직금은
근로 계약이 종료된 시점에서 지급된답니다.
즉, 육아휴직 후 다시 근무를 시작한 뒤 퇴직하는 경우,
육아휴직 기간을 포함한 전체 근로 기간을 기준으로
퇴직금이 산정돼요.
4.육아휴직 후 퇴직금에 대한 분쟁 방지 방법
육아휴직 후 퇴직금과 관련한 분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육아휴직 전후의 급여 명세서나 계약서를 꼼꼼히 확인하고,
퇴직금 지급 기준을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또한 퇴직금을 지급받지 못한 경우, 고용 노동부에 상담을 요청하거나,
노동법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육아휴직 후 퇴직금을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해 설명드렸습니다
근로계약서 작성과 관리가 가능하며,
급여명세서 자동 발송 기능이 있는 샐러리뷰로
간편하게 작성하고 관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