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장님들, 하루 고용이라도
계약서 꼭 쓰세요!

보도자료 2025.03.12

퇴직금 세전 세후 차이

  • 작성자 : 관리자
  • 조회수 : 199회

 

 

퇴직금은 근로자가 퇴직할 때 받는 중요한 보상 중 하나입니다.

많은 사람들은 퇴직금을 받았을 때 세금이 얼마나 공제되는지에 대해

궁금해하지만, 세전과 세후 금액은 크게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세전 퇴직금과 세후 퇴직금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이번 글에서는 퇴직금의 계산 방법을 세전과 세후로 나누어 설명하고,

그 차이를 정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드릴게요!

 

 

 

 

 

🔶1. 퇴직금 개념🔶

 

퇴직금: 근로자가 일정 기간 동안 일한 뒤 퇴직할 때 지급받는 금액

퇴직금의 지급 조건(최소 1년 이상 근속 시 지급)

퇴직금은 최소 1년 이상 근속한 근로자에게 지급

즉, 근로자가 한 직장에서 1년 이상 근무한 경우,

퇴직 시 퇴직금을 받을 자격이 생깁니다.

만약 1년 미만으로 퇴직하면 퇴직금을 받을 수 없습니다.

 

참고: 퇴직금은 근로기간 동안의 평균 임금을 기준으로 계산되며,

근속 기간이 길수록 퇴직금이 더 많아집니다.

 

 

 

 

 

🔶2. 세전 퇴직금🔶

 

세전 퇴직금은 세금이 차감되기 전의

퇴직금 금액을 말합니다.

퇴직금은 세전 금액으로 계산되는데요
즉, 퇴직금 지급 시 세금이

공제되기 전의 총액을 의미합니다.

 

퇴직금 계산 방법: 일반적으로 근로자 1년 동안의
평균 임금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예시: “퇴직금= (1일 평균 임금)X(근속 연수)X30”

 

 

 

 


🔶3. 세후 퇴직금🔶

 

퇴직금에서 세금이 공제된 후 지급되는 금액을 말하는데요

세후 퇴직금은 세금이 이미 공제된 후 근로자에게 지급됩니다

퇴직금에 대한 세금: 퇴직금은 퇴직소득세가 부과되며,
과세 기준에 따라 차등 세율이 적용됩니다.


(예: 일정 금액 이하일 경우 면세 혜택이 있을 수 있음)

퇴직소득세는 퇴직금의 액수에 따라 단계적으로 적용됩니다.

따라서 퇴직금이 많을수록 세금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4. 세전 퇴직금과 세후 퇴직금의 차이🔶

 

세전 퇴직금은 퇴직금 총액을 말하고,
세후 퇴직금은 세금이 차감된 실제 지급액을 의미

 

예시: 퇴직금 3,000만 원이 계산되었지만,
세금이 15% 적용되어 실제로,
2,550만 원을 받게 됩니다

 

 

 

 

 

🔶5. 퇴직소득세 계산 방법🔶

 

퇴직소득세는 세법에 따라 다르게 계산됩니다.

 

<퇴직소득세 퇴직금 공제와 세율 적용한 계산 방법>

 

퇴직소득 기본 공제: 3,000만 원

퇴직소득세 과세표준= 퇴직금-기본 공제

세율: 과세표준에 따라 누진세율이 적용됩니다

 

예시: 퇴직금 5,000만 원의 퇴직소득세 계산

 

퇴직금: 5,000만 원

기본 공제: 3,000만 원

퇴직금에서 기본 공제를 제외한 2,000만 원이

과세 대상이 됩니다

 

과세표준: 5,000만 원 - 3,000만 원= 2,000만 원

 

세율 적용: 퇴직소득세는 다음과 같은 세율을 적용합니다.

과세표준 3,000만 원 이하: 6%

과세표준 3,000만 원 초과 5,000만 원 이하: 15%

과세표준이 2,000만 원이므로, 세율 6%를 적용합니다

 

퇴직소득세

2,000만 원 X6%= 120만 원

따라서, 퇴직금 5,000만 원에서 120만 원이
퇴직소득세로 공제됩니다.

 

실수령액

5,000만원-120만 원=4,880만 원

 

 

 

 

 

🔶6. 세후 퇴직금 관리 및 절세 방법🔶

 

퇴직금을 절세하는 방법으로는
퇴직연금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퇴직연금에대한 세액 공제를 받으면
퇴직금에 대한 세금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퇴직금에 적용되는 세금을 줄이는

방식이 있는데요.

 

퇴직금에 대한 세금은 “퇴직소득세”로 부과되며,

세액 공제를 직접 받는 방식은 없지만,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세금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1.퇴직금 분할 수령🔹

퇴직금을 한 번에 받지 않고 여러 해에 걸쳐

나누어 받으면, 세금 부담이 분산되어 절세할 수 있습니다

 

🔹2.퇴직소득세 공제🔹

퇴직소득세는 일정 조건 하에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퇴직금이 일정 금액 이하일 경우,

더 낮은 세율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세금 관련 절세 방법에 대해서는 세무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급여명세서 자동발송, 근로계약서 작성

샐러리뷰를 통해 쉽게 작성하세요!

 

지금 바로 무료로 도입하세요
24시간 빠른 상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