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장님들, 하루 고용이라도
계약서 꼭 쓰세요!
급여 명세서 미지급, 이제는 불법 벌금 폭탄 피하는 법
"직장인 A씨는 매달 급여를 받지만, 단 한 번도 급여 명세서를 받아본 적이 없습니다. 별문제 없다고 생각했던 그는 최근
‘급여 명세서 미지급이 법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소식을 듣고 당황했습니다. 혹시 나도 불이익을 받을 수 있는 걸까?
급여 명세서를 주지 않는 회사는 어떤 처벌을 받게 될까?
이제 급여 명세서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입니다. 사업주는 반드시 직원에게 급여 명세서를 제공해야 하며,
이를 어길 경우 최대 50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급여 명세서를 제대로 지급하지 않는 회사가 많고, 직원들 역시 이를 당연하게 여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다면 편리하게 급여 명세서를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2021년 11월 19일부터 시행된 급여 명세서 발급 의무화, 저희 샐러리뷰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1. 급여 명세서 의무화 시행일
2022년 1월 1일부터 모든 사업장에서 근로자에게 급여 명세서를 제공해왔습니다.
2. 급여 명세서 제공 대상
정규직, 계약직, 아르바이트 등 모든 근로자
상시 근로자 수와 관계없이 모든 사업장 적용
3. 급여 명세서 필수 기재 항목
근로 기준법에 따라 사업주는 급여 명세서에 다음 항목을 포함해야 합니다.
✔ 근로자의 인적 사항 (이름 등)
✔ 임금 지급일 및 지급 총액
✔ 기본 급 및 수당 등 임금 구성 항목
✔ 공제 내역 (세금, 4대 보험료 등)
✔ 실제 수령 액 (공제 후 지급 금액)
4. 급여 명세서 미지급 시 벌금(과태료)
최대 500만 원 과태료 부과 가능
1차 적발: 30만 원 × 근로자 수
2차 적발: 50만 원 × 근로자 수
3차 적발: 100만 원 × 근로자 수
5. 급여 명세서를 간편하게 발급하는 방법
많은 사업장에서 급여명세서 발급을 번거롭게 생각할 수 있지만,
샐러리뷰 같은 급여 관리 앱을 활용하면 자동으로 급여 명세서를 생성하고 제공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 정리하면?
💡 2022년부터 급여 명세서 제공은 법적 의무!
💡 미지급 시 과태료 최대 500만 원!
💡 샐러리뷰 같은 급여 명세서 관리 앱을 활용하면 간편하게 해결 가능!
이제 급여 명세서는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사업주도, 근로자도 꼭 챙겨야 할 중요한 법적 의무죠. 😊
882536